반응형

수동소자 2

[회로 기초] 인덕터(Inductor, L)와 커패시터(Capacitor,C)에 대해 알아보자

저항(Resistance, R)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이제 인덕터(Inductor, L)에 대해 알아보자. 인덕터(Inductor, L) 인덕터는 코어(core)를 감는 도체의 코일(coil)로 구성되는데, 이 도체에 전류가 흐를 때 발생하는 자기장의 형태로 에너지를 저장하는 수동소자이다. 인덕턴스(Inductance) 인덕턴스(Inductance)는 전류의 단위 변화당 발생하는 기전력의 양을 나타낸다. 단위는 H(Henry)로 1H의 인덕턴스는 1초당 1A의 비율로 전류가 변할 때, 1V의 기전력을 전류 변화의 반대 방향으로 발생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V : 전압, i : 전류, t: 시간, L : 인덕턴스) 저항에서 진행했던 것과 마찬가지로 인덕터 또한 직렬 및 병렬연결이 되어있을 때 이에 대한 ..

[회로 기초] 저항(Resistance, R)에 대해 알아보자

회로 해석에 있어 가장 기본적인 수동 소자는 저항(Resistor, R), 인덕터(Inductor, L) 그리고 커패시터(Capacitor, C)이다. 회로 공부를 본격적으로 하기 전 미리 알아두어야 할 내용들이라고 생각한다. 회로 공부를 시작하기 전 이 소자들의 기본적인 특성에 대해 정리해보자. 특성을 알아보기 전, 앞에서 말한 수동소자의 뜻을 같이 알아두면 좋을 것 같다. 수동 소자(Passive element) 수동적 소자라는 뜻으로 증폭이나 전기 에너지의 변환과 같은 능동적 기능을 가지지 않고 에너지를 소비, 축적과 같은 동작을 한다. 수동소자는 외부 전원이 별도로 필요 없이 소자 단일로도 동작이 가능하다. 만들어진 후에는 소자의 특성이 이미 결정되어 있어 입력 조건에 의해서 소자의 특성 변화가 ..

반응형